![](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5lbL9/btq4p7APZtr/QlbhSB2UqzeZYLIROXfHb1/img.png)
주식 관련 용어로 해자가 넓다, 해자가 좁다, 해자가 없다 어쩌구 이런 소리를 듣게 되는데, 해자가 헷지나 뭐 이런 것처럼 영어인 줄 알았더니만 우리가 아는 그 해자가 맞다. 해자 뜻 성 주위에 둘러 판 못(연못, 물길)을 말한다. 그럼 주식에서 쓰는 해자 뜻이 무엇이냐? 영어로 economic moat을 말하고 우리말로 경제적 해자라고 번역 되는데, 한 회사가 동종업계의 다른 회사에 비해 갖고 있는 경쟁 우위를 말한다. 해자가 넓은 성은 함부로 침범할 수 없듯이 해자가 넓은 기업은 그 분야에서 경쟁사보다 높은 우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경쟁사가 쉽게 넘볼 수 없는 장벽을 경제적 해자라고 하는 것이다. 그 분야의 독점적인 기업, 독보적인 기업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경제적 해자라는 용어는 워렌 버핏 옹..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uRluV/btq2XbkHBMR/tkMzPwAresU7A13ugm9RvK/img.png)
유상증자 신주인수권증서가 입고되면 어떤 창을 열어봐야 할까. 먼저 신주인수권증서 뜻부터 알아봤다. 우선 신주인수권증서(R)가 무엇인가. 신주인수권증서란 회사가 유상증자할 때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권리라고 한다. 유상증자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신주인수권증서가 반드시 필요하다. 신주인수권은 언제, 누구에게, 어떻게 주어지나. 신주배정기준일까지 주식을 보유한 주주에게 신주배정비율에 따라 공짜로 주어진다. 신주인수권을 받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 경우에 따라 다르다. -유상증자 청약하고 싶은 경우 청약 기준일까지 보유한 경우에는 유상청약 신청이 가능하다. 일정 확인 후 유상증자에 참여하고 싶다면, 신주인수권 거래기간에는 아무것도 하지 말고, 유상증자 청약일에 반드시 증권사를 통해 청약해야 한다. -신주인수권을 팔고..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SrfYi/btq2plVu40M/mb9w06Tt3RmYe52Y8AdDik/img.png)
[주식 주문 종류 차이와 활용 기록 정리] 줄곧 지정가만 이용하다 시행착오도 겪으면서 이제 겨우 조금은 LOC, 지정가, 조건부 지정가, 시장가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성향과 주식 환경에 따라 활용하기 나름일 것 같다. 한국 주식 분할 매수 시 지정가, 조건부 지정가, 시장가(동시호가) 활용 매수하기 적당한 가격대에 들었다는 생각이 들고 가격대와 총액수를 설정했으면 얼마씩 분할 매수할지 대략적으로 정한다. 주식 처음 시작할 때부터 보통가(지정가)만 이용했었다. 정규 시장에 여러 가격대에 걸쳐서 매수를 걸어 놓는 것이 최선이었는데, 주문 종류 별로 나누어 매수하는 것이 평단가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지정가 7+조건부 지정가3이라든가, 5대5라든가. 비율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다. 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zOgCX/btq2fdKdCn3/XkSWRSZLrb4VjnktqLYX20/img.png)
LOC 매수 주문을 며칠 전부터 시도하고 있었는데 지정가격이 터무니 없이 낮았던 건지 매번 불발되더니, 이번에 나이키 주식을 정말 지정한 가격보다 싸게 매수할 수 있었다. 미국 주식 거래는 왜 LOC 주문인가 밤낮이 바뀐 미국 주식 시장의 특성상 지정가만으로는 어려움이 있다. 장중에 밤새 주식창을 들여다 보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LOC 주문은 종가가 주문가보다 유리한 가격일 때 체결되는 주문 방식이라는 점에서 유용하다. 물론 장중에는 체결되지 않는 한계도 있다. 글로만 배워서 무슨 뜻인지 몰랐는데 이번에 해보니 조금 알 것 같다. 그래서 정말 유리한 가격에 체결되었는가 알아보자. 이번에 산 미국 주식은 나이키다. 우선 나이키 기업 정보를 알아보자. 봐도 잘 모르지만 일단 눈에 익히고 있는..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pAQ33/btq17ZywH2P/D1TjGbbNFbSbKK7pPs79xk/img.png)
먼저 용어에 대해서 알아본다. 증권사마다 다른지 어떤지, 키움증권의 경우를 보면 영웅문4(PC버전 HTS)에서는 보통가로 표기되어 있고, 모바일 버전 영웅문S에서는 지정가로 되어 있는데, 보통가와 지정가는 같은 말이다. 대부분 가장 처음 이용하는 주문 방법이 보통가일 것 같은데, 정규장 시간에 주문 종류를 보통가(지정가) 선택 후 지정한 가격을 써서 내면 해당 가격대에 체결이 되거나 불발된다. 그런데 주문방법은 보통가만 있는 것이 아니다. 지난번에는 시장가를 알아봤는데, 이번에는 조건부지정가를 직접 해봤다. 조건부지정가 보통가(지정가) 차이 조건부 지정가를 선택하면 보통가(지정가)와 마찬가지로 수량과 가격을 원하는대로 선택할 수 있다. 참고로 시장가는 정해지는 가격대로 체결되기 때문에 내가 원하는 가격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fadtt/btq1XgWoqga/narKb2beEFKqSF6DG0e2KK/img.png)
올해들어 한동안 게임스탑 주가로 공매도에 대한 관심이 뜨거웠다. 덕분에 공매도가 무엇인지, 어떤 작용을 하는지 다소 들어둘 기회가 되었다. 그런데 문득 실제 게임스톱 차트는 어떤 모양이었는지, 그 후로 게임스탑 주가 어떻게 됐나 싶어 찾아봤더니, 뭔가 이상한 낯선 느낌을 받은 것이다. 게임스톱 공매도 전쟁의 날, 그때 그 날의 최고가와 최저가 공매도 세력과 미국개미들의 치열했던 전투 흔적을 찾아보는데, 이게 뭐지? 21년 1월 28일 일일 최고가 483달러인데 같은 날 최저가 112달러이다. 무려 최고가 최저가 차가 371달러나 된다. 이 동네는 뭐 상하한가도 없나 싶어 호가창을 봤더니, 보다시피 거래대금, 시가, 고가, 저가 다 있는데, 상한가 하한가는 빈 공간이다. 숫자는 어디로 갔을까? 알아보니 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5GA5/btq1ZMMmS4c/ko0C5isAYZNeAtZrBgKzDk/img.png)
지난 금요일 밤이었다. 미국 주식시장이 열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날 미국 주식 시장이 열리지 않은 정확한 이유는 모르지만, 아마 부활절이라는 종교 문화적인 이유가 있었던 모양이다. 이럴 줄 알았으면 꿀잠 잤을 시간이었다. 미국 주식을 시작하고 처음 겪는 거라 앞으로 주식 시장 쉬는 날이 언제인지 어떻게 미리 아는지 알아봤다. 미국주식 휴장일을 네이버 포털에서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정리가 잘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다음 포털이나 구글 검색으로도 찾을 수 있는 정보지만, 상대적으로 한눈에 알기 쉽게 나와있다. 국내 미국 주식 휴장일 미국뿐 아니라 국내 주식 시장 휴장일과 일본, 중국 주식 시장 휴장일도 정리되어 있으니, 월초에 보고 미리 확인해 두는 것이 좋겠다. 한국주식 시장은 4월달에는 쉬는..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4bajK/btq1TMeOLOJ/38iaKjJ8gPFA4EogvfikC0/img.jpg)
그동안 배당금에 대해 궁금했던 점에 대해 실전에서 직접 테스트 해보면서 알게 된 점, 주식 커뮤니티에서 검색 등으로 알게된 정보 중에서 애매했던 부분을 정리해 봤다. 배당금 주식 매수 시기 관련 용어 커뮤니티 여기저기서 주식 배당금 관련 용어를 알아 보다가 초기에 조금 헷갈렸던 부분이다. 우선 배당락의 개념을 알아야 한다. 배당락 뜻 (출처 네이버 금융사전) 배당락 의미를 찾아보면 보면 배당기준일이 경과해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없어진 날을 말한다. 즉, 이 날은 이미 배당 권리가 떨어진 날이라, 배당락일에 주식을 매수해도 배당금을 받지 못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매수마감일 뜻 그러므로 배당락일 전날까지 매수를 해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 배당락일 전날을 가리켜 국내 주식 커뮤니티에서 매수마감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2wgf5/btq1asQGBin/MDgSuSstlTATk1aTevKRx0/img.png)
정규 시장 거래 외 동시호가 거래를 시도해 보았다. 관련 용어 장 시작 동시호가=오전 동시호가=장전 동시호가 장 마감 동시호가=오후 동시호가=장후 동시호가가 같은 뜻으로 혼용되어 쓰이고 있는 것 같다. 장전 장후 동시호가 특징 가격 우선 원칙, 수량 우선 원칙만 적용되고, 시간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선착순이 아니고 일괄체결되므로, 시간적으로 여유있게 상황을 보다가 거래를 걸어도 된다. 오전 동시호가 시간 8시 30분부터 9시까지 30분간, 오후 동시호가의 경우 시간은 오후 3시(15시) 20분 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10분동안, 이 사이에 언제 거래를 걸든 동일 시각에 주문이 들어온 것으로 간주된다. 동시호가 매매 종류 동시호가 매매 구분을 보통가로 한다는 사람도 있고 시장가로 한다는 사람도 있는..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gpWzK/btq0VoUSo7J/ga3qrsANThorGOhTFf3DM0/img.jpg)
주식 입문하고 주식 거래창을 처음 보았을 때, 시가가 언제 시작하는 가격이라는 건지, 기준가는 뭘 기준으로 한다는 건지 알 수 없었다. 아래는 아직 정규 시장이 열리기 전 주식 거래 창이다. 기준가가 45,950이라고 되어 있는데 시가는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다. 기준가는 무엇이고, 시가는 언제 정해지는가? 흔히 종가에 사라는데는 말을 하는 것을 들을 수 있는데, 그렇다면 언제 사야 종가에 살 수 있는지는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다. 정확히 종가, 시가가 언제 결정되는 가격인지, 어떻게 결정되는 것인지 주린이는 궁금할 수밖에 없다. 대다수 보통은 정규시간에 거래를 할 텐데, 한국 주식 시장은 시간대에 따라 위와같이 열린다. 주식 시장이 열리는 시간하면 9시부터 3시반까지만인줄 알았는데, 그 전 후로도 거..